http://blog.daum.net/yiga0109/9687171
불안한 국제금융시장과 한국
그렇군 2016.01.18 14:23
(상략)
지금 이란이 제재가 해제되면서 본격적으로 과거 자신의 쿼터만큼
원유 수출을 늘리려고 하고 있어서 공급 과잉의 우려가 더욱 커졌고
그러면서 20달러도 위험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사우디가 그렇다고 감산할 것으로 보여지지도 않아서 6월 OPEC 정례회의까진
일단은 저유가가 지속될 가능성도 높아 보이는 상황입니다.
사우디가 미친짓을 계속 하는 것으로 봐서 결국 사우디가 5개로 쪼개지면서
저유가 싸움이 끝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이것이 최소한 러시아와 이란도 겨냥했을 것인데 러시아가 병신들도 아니고
사우디에게 연속 3번은 계속 당하진 않겠죠. (80년대와 90년대)
그런데 사우디는 여전히 같은 전략이 먹힐 것이라고 보는 황당한 모습입니다.
물론 사우디가 당장 붕괴될 일은 없지만 내부의 반란들 그리고 외부의 전쟁들로
어려운 상황이 장기간 계속되면서 결국 사우디가 쪼개지면서 사라질 가능성이 큽니다.
아무튼 사우디가 재정적으로 계속 어려워지면 결국 아람코사의 지분도 팔 것이고
그러면서 버티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 아람코사를 팔아야 할 정도가 된다면
국제 유가도 결국 흐름이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엔 지분을 사들인 민간의 입장에선 사우드가의 감정에 따른
유가 경쟁의 손실을 받아들이려고 하진 않겠죠.
당연히 유가 상승의 압력을 주겠죠.
그래서 아무튼 그 끝이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이 싸움의 결과로 미 셰일 산업이나 북해 유전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지만
반대로 이들은 사우디의 아람코사의 지분을 헐값에 먹으면서
이익을 챙길 수도 있어 보입니다.
이것이 본래 목적이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지금의 사우디와 러시아, 이란 간의 치킨 게임에서 결국 사우디가 패자일 것이고
미국이 결국 동맹국인 사우디를 먹으면서 승자가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도 듭니다.
물론 자신도 셰일 산업이 붕괴되는 피해는 보겠지만 사우디의 석유를 먹는다면
충분히 이익일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러시아를 약화시킬 수도 있기에 손해는 아니겠죠.
더 나가서 이란까지 끌어들인다면 미국이 진짜 승자가 될 겁니다.
하지만 이란까지 끌어들일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겁니다.
(하략)
불안한 국제금융시장과 한국
그렇군 2016.01.18 14:23
(상략)
지금 이란이 제재가 해제되면서 본격적으로 과거 자신의 쿼터만큼
원유 수출을 늘리려고 하고 있어서 공급 과잉의 우려가 더욱 커졌고
그러면서 20달러도 위험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사우디가 그렇다고 감산할 것으로 보여지지도 않아서 6월 OPEC 정례회의까진
일단은 저유가가 지속될 가능성도 높아 보이는 상황입니다.
사우디가 미친짓을 계속 하는 것으로 봐서 결국 사우디가 5개로 쪼개지면서
저유가 싸움이 끝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이것이 최소한 러시아와 이란도 겨냥했을 것인데 러시아가 병신들도 아니고
사우디에게 연속 3번은 계속 당하진 않겠죠. (80년대와 90년대)
그런데 사우디는 여전히 같은 전략이 먹힐 것이라고 보는 황당한 모습입니다.
물론 사우디가 당장 붕괴될 일은 없지만 내부의 반란들 그리고 외부의 전쟁들로
어려운 상황이 장기간 계속되면서 결국 사우디가 쪼개지면서 사라질 가능성이 큽니다.
아무튼 사우디가 재정적으로 계속 어려워지면 결국 아람코사의 지분도 팔 것이고
그러면서 버티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 아람코사를 팔아야 할 정도가 된다면
국제 유가도 결국 흐름이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엔 지분을 사들인 민간의 입장에선 사우드가의 감정에 따른
유가 경쟁의 손실을 받아들이려고 하진 않겠죠.
당연히 유가 상승의 압력을 주겠죠.
그래서 아무튼 그 끝이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이 싸움의 결과로 미 셰일 산업이나 북해 유전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지만
반대로 이들은 사우디의 아람코사의 지분을 헐값에 먹으면서
이익을 챙길 수도 있어 보입니다.
이것이 본래 목적이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지금의 사우디와 러시아, 이란 간의 치킨 게임에서 결국 사우디가 패자일 것이고
미국이 결국 동맹국인 사우디를 먹으면서 승자가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도 듭니다.
물론 자신도 셰일 산업이 붕괴되는 피해는 보겠지만 사우디의 석유를 먹는다면
충분히 이익일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러시아를 약화시킬 수도 있기에 손해는 아니겠죠.
더 나가서 이란까지 끌어들인다면 미국이 진짜 승자가 될 겁니다.
하지만 이란까지 끌어들일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겁니다.
(하략)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명육통이란 무엇인가 / 청 화 스 님 (0) | 2016.03.26 |
---|---|
백만장자 투자자인 Jeff Gundlach 이 금값 30% 상승을 말하다 (0) | 2016.01.19 |
생활의 좋은 정보 (꿀팁) (0) | 2016.01.06 |
돈을 좋아하는 그대에게 (0) | 2015.12.27 |
거울형 몰래카메라 확인법 (0) | 2015.12.27 |